전체 글133 하츠투하츠(Hearts2Hearts) 신멤버 프로필: SM의 새로운 8인조 걸그룹 K-POP의 선두주자인 SM엔터테인먼트가 2025년 새롭게 선보이는 8인조 걸그룹, **하츠투하츠(Hearts2Hearts)**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룹명은 '마음에서 마음으로'라는 의미를 담아 음악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겠다는 포부를 나타냅니다. SM의 차세대 글로벌 프로젝트로 기대를 모으는 하츠투하츠의 멤버들을 소개합니다.하츠투하츠 멤버 프로필1. 지우 (JIWOO)본명: 김지우출생연도: 2006년 9월 7일국적: 대한민국포지션: 메인보컬특징: 맑고 청아한 보이스가 특징이며, 안정적인 가창력으로 팀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2. 카르멘 (CARMEN)본명: Nyoman Ayu Carmenita출생연도: 2006년 3월 28일국적: 인도네시아포지션: 리드보컬, 댄서특징: 깊이 있.. 2025. 2. 25. 쓰레드 오브 라이프(Threads of Life)의 발리 문화 확산 프로그램 동남아시아 경제 위기 때 무너져가던 전통 직조 문화를 지키기 위해 1998년 시작된 쓰레드 오브 라이프는 현재 발리를 대표하는 문화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처음 한 마을의 12명 직조가들과 시작한 작은 움직임은 이제 인도네시아 12개 섬, 1,200명이 넘는 여성 직조가들과 함께하는 거대한 문화 운동이 되었습니다. 전통과 현대의 만남, 다이 스튜디오우마자티 리트릿에 위치한 다이 스튜디오는 전통 염색 문화를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교육의 장입니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입문자부터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5일 과정의 스튜디오 입문 프로그램(335달러)은 단순한 기술 전수를 넘어 인도네시아의 전통 지혜를 경험하는 여정입니다. 첫날과 둘째 날은 기초를 다지는 시간입니다. 염색 정원 투어를 시작으.. 2025. 2. 5. 발리 로컬 브랜드 9: 쓰레드 오브 라이프(Threads of Life) "어떻게 우리의 문화와 정체성을 지키면서 생계도 유지할 수 있을까요?"이는 인도네시아 전통 직조가들이 끊임없이 던지는 질문이었습니다. 1997년 우붓에서 시작된 쓰레드 오브 라이프는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자, 로컬 브랜드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전통 직물 산업이 저가 대량 생산으로 기울어가는 시점에서, 이들은 전혀 다른 길을 선택했습니다. 이들의 성공은 구체적인 숫자로 입증됩니다. 현재 12개 섬에서 1,200명이 넘는 여성 직조가들과 협력하며, 이들은 평균적으로 월 200-300달러의 수입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는 인도네시아 최저임금의 150-200% 수준으로, 직조가들의 실질적인 경제적 자립을 가능하게 합니다. 브랜드는 매년 약 20만 달러를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있.. 2025. 2. 5. 우붓의 특별함: 관광 성장과 독특한 로컬 문화의 공존 발리의 문화 중심지 우붓은 지난 10년간 놀라운 성장을 이뤄왔습니다.2019년 기준으로 연간 약 300만 명의 관광객이 우붓을 방문했으며, 이는 2010년 대비 200%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단순한 관광객 수의 증가를 넘어 방문객들의 성격이 변화했다는 것입니다. 짧은 기간 머무는 관광객들보다 디지털 노마드나 장기 체류자들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죠. 우붓이 이처럼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 것은 이곳만의 독특한 라이프스타일 때문입니다. 매일 아침 사원에서 진행되는 의식, 거리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예술가들의 작업실, 정기적으로 열리는 마을 축제와 문화 행사는 우붓의 일상에 예술이 얼마나 깊이 스며들어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새벽 요가로 하루를 시작하고, 유기농 카페에서 브.. 2025. 2. 5. 발리 히피 문화가 만든 로컬 브랜드 - 자유와 예술혼의 결정체 1960-70년대, 서구의 젊은이들이 물질만능주의와 기성 문화에 반기를 들고 동양의 영성을 찾아 나섰습니다. 이른바 '히피 트레일(Hippie Trail)'이라 불리는 이 여정은 유럽에서 시작해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까지 이어졌습니다. 이 여정의 종착지 중 하나였던 발리는 특별한 매력으로 많은 히피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발리가 히피들의 천국이 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었습니다. 먼저 힌두교와 토착 신앙이 어우러진 독특한 영적 분위기가 있었죠. 예술과 일상이 분리되지 않는 생활 방식,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지역 문화는 기존 사회 체제에 염증을 느낀 젊은이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여기에 아름다운 해변과 열대 기후, 풍요로운 자연과 저렴한 생활비, 느리고 여유.. 2025. 2. 5. 발리 로컬 브랜드 8: 발리 요가반 The Yoga Barn [우붓의 상징적인 로컬 브랜드, The Yoga Barn - 요가를 넘어 발리의 영성을 전하다] 우붓의 수많은 로컬 브랜드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2007년 설립 이후 1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우붓의 요가 문화를 이끌어온 '요가 반(The Yoga Barn)'입니다. 작은 스튜디오 두 개와 비건 카페로 시작한 이곳은 현재 발리를 대표하는 웰니스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진정성 있는 시작요가 반은 처음부터 단순한 비즈니스를 넘어 더 큰 가치를 추구했습니다. 발리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따른 친환경적인 공간 설계, 현지 문화와 영성의 존중, 그리고 지역 사회와의 상생이라는 가치를 중심으로 성장해왔습니다. 현재 175명이 넘는 발리 현지 스태프들과 함께하며, 진정한 의미의 로컬 브랜드로서 .. 2025. 2. 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3 다음